본문 바로가기

반려동·식물

중형견 종류 및 특징 (1)

 소형견, 중형견, 대형견을 나누는 기준이 정확하게 정해진 것은 아니지만 통상적으로 몸무게가 7kg 이하의 견종을 소형견, 7kg 초과~15kg이하의 견종을 중형견, 15kg 초과하는 견종을 대형견으로 구분합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소형 강아지 종류 및 특징에 대해 알아 보았는데요, 오늘은 중형 강아지 종류 및 특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웰시코기


출생지는 영국이며, 여우를 닮은 외모와 짧은 다리가 매력적인 견종입니다.


평소에는 느긋한 성격이지만 훈련을 할 때는 움직임이 빨라 훈련효과가 높습니다.

또한, 자기 영역에 대한 경계심이 많은 편이라 집을 잘 지키고 활동적입니다.


다정한 성격으로 어린아이가 있는 가정에서 키우기에 적합한 견종입니다.

하지만 소몰이를 할 정도로 운동량이 많은 개이므로 운동을 자주 시켜줄 수 있는 사람이 키우기 적합합니다.


단모종으로 털빠짐이 많아 기관지가 약하신 분들이 키우시기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2. 비글


출생지는 영국이며, 토끼사냥에 주로 쓰였던 견종입니다.

비글이라는 이름은 '요란하게 짖는다' 또는 '작다'를 나타내는 프랑스어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사냥개 중에서 크기가 가장 작으나, 후각이 발달하여 미국에서는 마약 및 밀수품을 찾는 탐지견으로도 쓰이고 있습니다.


낙천적이고 활발한 성격이며, 영리하고 온순하며 애교가 많습니다.


비글은 체구에 비해 많은 활동량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집에서 가두어 키우는 경우 매일 30분 이상 산책을 시키셔야 하고, 운동을 자주 시켜줄 수 있는 사람이 키우기에 적합한 견종입니다.


운동부족 등의 이유로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혼자 남겨지면 늑대처럼 울부직을 때가 있어 엄격한 훈련이 필요합니다.


주의하실 점은 비만이 되기 쉬운 견종이므로 음식 조절을 해주셔야 합니다.

또한, 귓병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항상 청결하게 해주셔야 합니다.



3. 셔틀랜드 쉽독


출생지는  영국이며, 셔틀랜드 섬에서 양떼를 몰고 지키는 역할을 한 목양견입니다.

마치 콜리를 작게 축소한 듯 귀여운 외모를 가지고 있으며 셸티(sheltie)라는 애칭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장난치기를 좋아하며 똑똑합니다.

또한, 배우는 것을 좋아해 훈련을 시키면 잘 따라하고, 주인에 대한 충성십과 복종심이 매우 강한 견종입니다.


성격이 활발하고 온순해 어린아이가 있는 가정에서 키우기에 적합합니다.


 운동량이 많은 편이고, 하루에 20분씩 네 번 정도 운동을 시켜야 하며, 운동이 부족할 경우 스트레스를 잘 받기 때문에 주의하셔야 합니다.


장모종이고 털빠짐이 많은 견종으로 기관지가 약하신 분들이 키우시기에는 부적합 할 수 있습니다.



4. 보더콜리


출생지는 영국이며, 주로 농장의 양치는 개로 불리는 목양견입니다.


끈기가 있고 지능이 높으며 주인에게 순종적입니다.

또한, 행동이 빠르고 민첩하며 다른 목양견과 마찬가지로 동물을 몰고자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매우 활동적이기때문에 마당이 있는 주택에서 키우는 것이 좋습니다.


털은 숱이 많고 속털이 깊어 털이 엉키지 않도록 빗질을 자주 해주셔야 하고, 털빠짐이 있는 견종으로 기관지가 약하신 분들이 키우시기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5. 불 테리어


출생지는 영국이며, 19세기 영국에서 사냥개를 만들기 위해 불도그와 테리어를 교배하면서 탄생한 견종입니다.


용감하고 활발하며 참을성이 많습니다.

하지만 사나운 성격이 있어 어린아이가 있는 가정에서 키우시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운동량이 많기 때문에 아침, 저녁으로 운동을 시켜주셔야 합니다.



6. 슈나우저


출생지는 독일이고, 슈나우저의 이름은 독일어로 '수염'이라는 뜻으로 입가의 덥수룩한 털로 인해 붙여졌습니다.


활동성과 자기 주장이 강하고, 방문객 또는 작은 동물을 보고 사납게 짖어 집을 잘 지킵니다.

또한, 대담하고 영리하며 이해력이 빠릅니다.


또한, 집에 혼자 남겨지는 것을 싫어하므로 집안에서 강아지와 함께 많은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사람이 키우기 적합한 견종입니다.


슈나우저는 더위와 추위에 약하기 때문에 여름과 겨울에는 실내 온도를 적절하게 맞춰주셔야 합니다.




지금까지 중형 강아지 종류 및 특징(1)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중형 강아지 종류 및 특징(2)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려동·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형견 종류 및 특징 (2)  (0) 2018.12.20
대형견 종류 및 특징 (1)  (0) 2018.12.12
중형견 종류 및 특징 (2)  (0) 2018.12.07
소형견 종류 및 특징 (2)  (0) 2018.11.27
소형견 종류 및 특징 (1)  (0) 2018.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