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형견, 중형견, 대형견을 나누는 기준이 정확하게 정해진 것은 아니지만 통상적으로 몸무게가 7kg 이하의 견종을 소형견, 7kg 초과~15kg이하의 견종을 중형견, 15kg 초과하는 견종을 대형견으로 구분합니다.
오늘은 중형 강아지 종류 및 특징(2)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핏불 테리어
출생지는 미국이고, 영국의 불독과 테리어를 교배하여 만든 투견입니다.
대담하면서도 차분하고 조용한 성격입니다.
또한, 자신의 가족에 대해 애교와 애정이 넘치고, 보호본능이 강한 견종입니다.
투쟁본능이 강한 기질을 가진 혈통위주로 교배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다른 동물이나 사람에게 공격적일 수 있어 어릴 때부터 엄격한 훈련이 필요합니다.
우리나라의 동물보호법에서 핏불 테리어는 맹견으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산책 시 반드시 입마개와 목줄을 하도록 규제하고 있습니다.
단모종으로 털빠짐은 보통이나 단모종인 견종의 털이 빠지면 옷에 박혀 버릴 수 있어 털 관리를 해주셔야 합니다.
2. 아메리칸 코카 스파니엘
츨생지는 미국이고, 스포팅 그룹에서 가장 작은 견종입니다.
사람을 잘 따르고 활발하며 감수성이 풍부합니다.
또한, 머리가 좋아 주인의 기대에 부응하려고 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운동량과 지구력이 뛰어난 견종으로 산책을 자주 시켜줄 수 있는 사람이 키우기 적합한 견종입니다.
아메리칸 코카 스파니엘은 장모종으로 털이 땅에 닿을 정도로 길기 때문에 털이 엉키지 않도록 빗질을 자주 해주셔야 합니다.
주요 유의 질병으로는 외이염, 백내장, 지루성 피부염 등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3. 바셋 하운드
출생지는 프랑스이고, 16세기 후반 프랑스에서 블러드 하운드와 엘트와 바셋의 교배로 개발된 견종입니다.
바셋 하운드의 이름은 '낮다, 난쟁이'라는 뜻의 'bas'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주인에게 헌신적이고 온순하며 침착한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하운드 특유의 독립적인 사고를 하는 특성이 있어 길들이기 힘들고, 훈련 중 간단한 명령을 잘 따르지 않기 때문에 훈련 시 주인의 끈기가 필요로 합니다.
비만이 되기 쉽우며, 비만이 되면 관절염에 걸리기 쉬우므로 하루에 최소 1시간 정도 운동을 시켜주는 것이 좋습니다.
4. 휘펫(휘핏)
출생지는 영국이고, 테리어와 그레이 하운드 계통의 견종들과 교배를 통해 탄생한 견종입니다.
다른 견종들과 잘 어울리고, 도시 생활이나 전원 생활 어디든 적응을 잘 하는 편입니다.
또한, 충실한 성격으로 집을 잘 지켜 경비견으로서의 역할도 잘 하는 견종입니다.
휘펫의 달리기 속력은 60km정도이고, 많은 운동량을 필요로 하는 견종으로 꾸준하게 적당한 운동을 시켜줄 수 있는 사람이 키우기에 적합합니다.
털은 단모종이고, 털빠짐은 있는 편으로 기관지가 약하신 분들이 키우시기에 부적합 할 수 있습니다.
주의하실 점은 각종 눈병에 걸리기 쉬운 견종이므로 결막염과 각막염에 걸리지 않도록 신경써 주셔야 합니다.
또한, 격한 운동을 자주 할 경우 심장판막증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셔야 합니다.
5. 케리 블루 테리어
출생지는 아일랜드이고, 아일랜드의 독립운동가들 사이에서 마스코트로 여겨지면서 인기가 상승한 견종이고, 1928년에 이르러서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은 견종입니다.
온순하고 활기차며 주인에게 순종적인 반면 고집스럽고 투쟁심도 강한 성격입니다.
많은 운동을 필요로 하지 않아 아파트나 주택에서 기르기에 적합하며, 털갈이를 하지 않아 어린아이가 있는 가정이나 기관지가 약하신 분들이 키우시기에도 적합한 견종입니다.
6. 스코티시 테리어
출생지는 스코틀랜드이고, 하일랜드 테리어 중 가장 오래된 견종입니다.
스코티라는 애칭을 가지고 있고, 에버딘 테리어 또는 웨스트 하일랜드 테일러 등으로 불리기도 했습니다.
또한, 미국의 제32대 대통령 F.루스벨트가 좋아했던 견종으로도 유명합니다.
가족과 친구들에게 다정하고, 주인에게 충성심이 강합니다.
또한, 내성적인 편이지만 용감하고 매우 총명하며 대담한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털은 이중모로 하모는 짧고 부드러운 털이 촘촘하게 자라며, 상모는 거칠고 뻣뻣한 털이 촘촘하게 자라나는데 이중모로 인해 날씨 변화를 잘 견디는 견종입니다.
스코티시 테리어는 하루에 2Km정도 산책을 시켜주는 것이 적당하므로 산책을 시켜줄 수 있는 분들이 키우기에 적합합니다.
중형 강아지 종류 및 특징 (2)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반려동·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형견 종류 및 특징 (2) (0) | 2018.12.20 |
---|---|
대형견 종류 및 특징 (1) (0) | 2018.12.12 |
중형견 종류 및 특징 (1) (0) | 2018.11.28 |
소형견 종류 및 특징 (2) (0) | 2018.11.27 |
소형견 종류 및 특징 (1) (0) | 2018.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