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적이로 15kg을 초과하는 견종을 대형견으로 구분하는데요, 오늘은 대형견 종류 및 특징(4)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블러드 하운드
출생지는 영국과 벨기에이고, '블러드'라는 이름은 피를 흘리는 사냥감의 냄새를 잘 맡고 귀족의 혈통을 가졌다는 뜻입니다.
블러드 하운드는 후각이 뛰어나 사냥과 범인 또는 미아 등 사람을 추적하는 데 이용되었습니다.
순하고 얌전하며, 사람들과 잘 어울립니다.
또한, 사납지 않고 다정하며 특히 주인과 끈끈한 애착관계를 형성합니다.
운동량이 많아 산책을 자주 시켜줄 수 있는 사람이 키우기에 적합하며, 실내보다는 실외에게 키우는 것이 적합합니다.
주의하실 점은 살이 찌기 쉽기 때문에 식사량을 조절하여 주셔야 합니다.
2. 살루키
출생지는 이집트이고, '살루키'라는 이름은 아라비아의 옛 도시 '살루크'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기원전 7000년경부터 있었던 견종이고, 고대 이집트에서는 왕가의 개라고 불렸으며, 이슬람교의 성전에도 나와 있을 정도로 이슬람교인들에게 사랑을 받아온 견종입니다.
냉정한 성격을 가지고 있지만, 감수성이 예민학 때문에 내성적이고 모든 일에 소극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인에게 충성심이 강하며 깊은 애정을 가집니다.
털은 단모종이며 명주실처럼 부드럽고 윤기가 있습니다.
사막 등 어려운 조건에서도 잘 살 수 있으며 추위에 강한 견종입니다.
3. 잉글리시 폭스하운드
출생지는 영국이며, 13세기 무렵부터 여우사냥에서 활약한 견종입니다.
이후 세인트 허버트 하운드와 톨벗 하운드, 테리어, 불독, 그레이하운드 등과 교배하여 더욱 빠른 사냥개로 개량되어 왔습니다.
또한, 19세기 중반부터는 혈통을 보호하여 족보를 기록해 왔으며, 한 배에 새끼 20여 마리를 낳는 등 뛰어난 번식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쾌활하고 명량하며 인내심이 강합니다.
하지만 고집이 센 편이여서 어릴 때부터 서열정리 및 사회성 훈련 등 엄격한 훈련이 필요합니다.
사냥개인 만큼 많은 운동량이 필요한 견종으로 운동을 자주 시켜줄 수 있는 사람이 키우기에 적합합니다.
또한, 실내에서 키우기보다 넓은 마당이 있는 단독주택 또는 전원주택 등에서 키우는 것이 좋습니다.
4. 진돗개
출생지는 한국이며, 1962년 천연기념물 제53호로 지정된 한국 특산의 개입니다.
확실한 유래를 알 수 없으나 1270년 삼별초의 항쟁이 일어났을 때 몽골에서 제주도 목장의 군용 말을 지키기 위해 들여왔다는 설이 가장 유력하며, 대륙과 격리된 채 비교적 순수한 형질을 그대로 보존하여 현재의 진돗개가 되었습니다.
주인에 대한 충성심과 복종심이 강하며 뛰어난 귀가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감각이 예민하고 용맹하여 산 속에서 야생동물을 만나도 겁먹지 않고 달려들며, 한 번 물면 놓지 않는 근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별한 훈련을 거치지 않고도 수렵견으로서 뛰어난 자질을 발휘하여 사냥과 집을 지키는 데 적합한 견종입니다.
털은 단모종이고, 털빠짐은 보통입니다.
5. 오터 하운드
출생지는 영국, 프랑스이고, 웰시 해리어와 서던 하운드를 교배하여 만든 견종입니다.
강한 인내심과 뛰어난 후각을 가지고 있어 수달 사냥에 이용되었고, 후에 오터 하운드로 수달을 사냥하는 것이 금지되자 밍크 사냥에 이용되기도 했으며, 현재는 애완견으로 인기있는 견종입니다.
관심있는 사냥감을 찾으면 오터 하운드만의 독특한 짖은 소리로 알려주는 사냥의 동반자입니다.
사냥감을 쫓을 때 육지에서는 약 12시간 동안 계속해서 추적할 수 있으며, 물에서는 5시간 동안 추적할 수 있습니다.
차분하고 영리하며 독립심이 강합니다.
또한, 천성적으로 활동적이고 주인에게 충성심이 강하며 다른 견종과도 잘 어울립니다.
활동량이 많은 견종으로 운동을 자주 시켜줄 수 있는 사람이 키우기에 적합하고, 실내견 보다는 실외견이 적합한 견종입니다.
털은 기름기가 있으며, 일주일에 한 번 정도 빗질을 해주시면 됩니다.
지금까지 대형견 종류 및 특징(4)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반려동·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양이 종류 및 특징 (2) (0) | 2018.12.25 |
---|---|
고양이 종류 및 특징 (1) (0) | 2018.12.24 |
대형견 종류 및 특징 (3) (0) | 2018.12.21 |
대형견 종류 및 특징 (2) (0) | 2018.12.20 |
대형견 종류 및 특징 (1) (0) | 2018.12.12 |